반응형

안녕하세요. 피지컬 스토리의 케이치입니다.

 

피지컬 스토리는 운동과 영양에 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전달해드립니다.
이 칼럼에선 트레이닝 루트는 3가지 요소인 강도 볼륨 빈도수 중 볼륨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NCBI에서 발표된 의학 논문들과 미국 보디빌딩과 파워 리프팅 코칭팀 3DMJ 소속 박사의 의견을 바탕하였습니다.)

 많은 보디빌딩 전문 이들과 의학 정보를 종합해보면 근비대와 스트랭스의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총 볼륨이라고 합니다.

총 볼륨은 한 세션에 볼륨 X 일주일에 하는 빈도수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한 부위 당 일주일에 하는 총운동량입니다.

이 운동량이 충분해야 근육이 더 크고 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은 최대한 무겁고 최대한 많이 최대한 자주 운동을 해야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데요.
뭐 그런 사람이 있겠죠.

 하지만 이에 따르는 부상과 피로와 컨디션 저하 등의 부작용들도 빠르게 쌓이게 됩니다.
이렇게 쌓인 피로는 휴식 영양분 섭취 수면 그리고 또 다른 여러 가지 요소들로부터 해소시킬 수 있지만 과도한 볼륨으로 몇 주 몇 달을 계속 훈련하며 피로를 계속 쌓게 된다면 결국 진보하지 않고 오히려 퇴보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아무리 좋은 영양분을 섭취하며 휴식을 취하거나 완벽한 운동 루틴을 바탕으로 운동을 해도 근 성장은 최소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의사와 연구진들이 트레이닝 루틴에 관해 깊게 연구하고 실험 자료를 발표하는 이유는 
바로 이 피로를 최소화하며 그 능력과 근비대 성장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서입니다.

 

 그럼 지금까지 밝혀진 연구에 따르면 볼륨을 어떻게 조절해야 최고의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일단 많이 할수록 무조건 효과가 좋은 것은 절대 아닙니다. 

2006년 한 실험에서 1회 반복 최대 중량에 90% 이상의 강도로 한 그룹은 한 주에 46 렙, 한 그룹은 93 렙, 나머지 한 그룹은 184 렙 이렇게 운동을 진행하였습니다.

 

 

 

10주 후 결과를 봤을 때 신기하게도 중간 그룹인 93 렙 수로 한 그룹이 큰 진보가 있었는데요.
184 랩 그룹 은 총볼륨이 두 배가 되었지만 효과는 오히려 떨어졌습니다.
게다가 그룹에서 몇 명은 너무 높은 강도의 고 반복 운동을 견디지 못 해부상과 컨디션 저하로 트리 이닝을 끝까지 진행하지 못하였습니다.
그 후 2007년 다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한 부위 당 40 렙 수를 기점으로 렙수가 증가할수록 근 성장을 이끌어 낼 만큼의 자극은 점점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물론 60 70 80 렙을 한다면 사실 40 렙을 한 것보다 더 큰 효과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숫자로 설명을 하자면 40 렙까지 효과가 100%였다면 60 렙은 80% 70 렙은 60% 80 렙은 40% 이런 식으로 렙 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한 렙 당 효과는 점점 미세해서 노력에 비해 효과는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한 번에 많은 볼륨을 해봤자 근육의 줄 수 있는 자극은 떨어지고 피로만 더 많이 쌓이니 매 세션마다 높은 볼륨으로 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두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렙은 피로를 최소화하며 근력과 근 비대를 최대화할 수 있는 볼륨의 양은 한 부위 당 40~70 렙 정도가 적절하다고 합니다.


한 부위당 약 두 가지 운동을 할 수 있는 렙수이죠. 
물론 강도는 스트렝스와 근비대 성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중량으로 하면서 말입니다.
개개인의 운동 경력에 따라 근 성장이 있으려면 점점 더 높은 볼륨이 요구되니 70 렙보다 더 높은 렙수가 요구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40에서 70 렙은 그저 권장된 숫자이니 정해진 답이라기보단 가이드라인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결국 자신의 생활과 컨디션에 적절한 볼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니 2 분할 아니면 3 분할처럼 같은 부위를 하는 
빈도수가 잦은 루틴은 한 세션 당 볼륨이 너무 높아진다면 다음 세션의 볼륨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2 세션이나 3 세션으로 나누어 현명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언제 어떻게 볼륨을 올리거나 낮춰하는지 잘 모르시겠다면 이 스텝대로 한번 따라가 보세요. 
만약 긴 시간 동안 몸에 변화가 보이지 않고 스트렝스와 근비대 둘 다 발전이 없다면 정체기가 왔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럼 첫 번째 지금 하는 볼륨이 2~3일 안에 한 번을 충분히 할 수 있을 만큼의 볼륨이었나 생각해보세요. 
근육만 더 이상 안 쓰신다고 컨디션 회복이 다 된 게 아닙니다.

 

 컨디션의 회복은 근육만이 아니라 정신적, 관절 그리고 중추신경계의 회복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다음 세션이 되어도 이전 세션에 했던 볼륨만큼이나 원래 목표했던 볼륨을 세션 시작부터 끝까지 좋은 자세로 수행할 수 없다면 컨디션 회복이 완벽하게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2 분할 같은 잦은 빈도수에 루틴은 컨디션 유지가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빨리 성장하고 싶은 마음이 급해 
매 세션마다 버거운 볼륨으로 밀어붙인다면 분명 역효과가 납니다. 

우리의 몸은 오늘 하루 더 많이 운동한다고 해서 빨리 성장하는 게 아닙니다. 
일주일 한 달 일 년 십 년 이렇게 긴 시간을 바라보고 점진적으로 발전해야 하는 것이죠.

자! 그럼 다시 정체기가 왔는데 만약 지금 하는 볼륨이 충분히 컨디션 유지를 할 수 있을 만한 볼륨이었다고 느끼시면 그때 총볼륨을 올리시면 됩니다.

 

여기서 기억하실 것은 볼륨을 증가시키는 데 있어선 무게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세트나 렙 또는 빈도수를 올려도 총볼륨은 증가하게 됩니다.

만약 잘 먹고 잘 자고 잘 쉬어 주는 데도 항상 컨디션이 안 좋고 피곤하고 운동할 때 계획한 루틴대로 수행을 못한다면 
몸이 회복할 수 있는 속도에 비해 볼륨이 너무 많다는 신호입니다.

 

일주일 동안 총볼륨을 내려 디로드 주간을 가지거나 피로를 덜기 위해 완전히 하루 이틀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결국 길게 보았을 때 정체기를 최소화하며 점진적으로 볼륨을 올려 가능한 한 최대한 빠른 속도로 진보하는 것이니까요.

 

 

결론

 

볼륨을 높이는 방법에는 무게, 세트, 렙수 그리고 빈도수인데

그중 한 부위 당 무게는 운동 목적에 따라 그리고 세트 수와  운동 렙수는

40~70 렙으로 주당 2~3 세션으로 나누어 훈련하자. 

 

 

 

2018/07/05 - [운동/운동 프로그램] - 2분할 운동법 Part 1. 강도

 

2분할 운동법 Part 1. 강도

안녕하세요. 피지컬 스토리의 케이치입니다. 오늘은 저번 칼럼에 이어서 2분할 운동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네츄럴로 몸을 만드시는 분들은 네츄럴 운동 인에게는 2분할 운동법이 가장 효과적이..

atoa00.tistory.com

2019/06/03 - [운동/운동 프로그램] - 2분할 운동법 Part 3 빈도수

 

2분할 운동법 Part 3 빈도수

안녕하세요. 피지컬 스토리의 케이치입니다. 이번엔 지난 주제에 이어서 2 분할 운동법 중 빈도수에 대하여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일주일에 단 한 번만 운동을 해도 발전은 있습니다. 주 당 총 볼륨은 하..

atoa00.tistory.com


지금까지 2 분할 루틴의 볼륨에 관한 이야기였습니다. 

 

 

2018/07/04 - [운동/운동 프로그램] - 나에게 맞는 분할 운동은? 무분할, 2분할, 3분할 어떤 선택을 할까?

 

나에게 맞는 분할 운동은? 무분할, 2분할, 3분할 어떤 선택을 할까?

안녕하세요. 피지컬 스토리의 케이치입니다. 이번에는 운동 분할법에 대하여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읠 처음할 때 과연 무엇을 처음해야하지? 라고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어느 정도 운동..

atoa00.tistory.com

2018/07/08 - [생리학 정보] - 근 비대와 근력 그 목적에 따른 운동 방법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근 비대와 근력 그 목적에 따른 운동 방법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피지컬 스토리의 케이치입니다. 이번 칼럼의 주제는 근 비대와 근력! 그 목적에 따른 운동 방법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이 근 비대 증가와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 방법의 차이에 대..

atoa00.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