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을철이 오면 등산과 피크닉으로 야외 활동으로 인해 발병의 위험이 있는 쯔쯔가무시 증상 예방이 최선입니다. 급성 발열성 질환의 한 종류로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서 발병하는 가을철 유행 질병입니다.

쯔쯔가무시 원인

 

쯔쯔가무시증 개요

 

급성 발열성 질환의 한 종류로 여름이 지나고 야외활동으로 풀 숲이나 등산에서 들쥐에 기생하던 털진드기 유충이 인간을 물어 인체로 침입한 쯔쯔가무시균이 원인인 질병입니다. 매 년 10월에서 12월에 발병하는 환자가 대부분입니다.

물린 자리에 발열과 딱지가 생기고 질환자에서 다른 사람으로의 감염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봄과 가을철 발병이 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야외활동 시에 맨 살이 나오지 않게 긴소매와 긴바지를 입고 기피제를 뿌려 사전에 예방을 해줘야 합니다.

쯔쯔가무시 개요

 

쯔쯔가무시 증상

 

발열, 두통, 피부발진, 기침, 두통, 구토, 근육통, 복통이 일어나고 발병 3일에서 7일에 몸통을 시작으로 팔과 다리로 퍼져 소양증이 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홍반성 구진성 발진이 일어나고 진드기에 물린 부분에 5mm에서 20mm 정도의 딱지가 만들어집니다.

털진드기에 물린 부분은 구진을 시작으로 수포 궤양이 일어난 후 딱지가 덮이게 되고 딱지 주위는 홍반이 일어나게 됩니다. 일부 감염자에게서는 합병증으로 폐렴, 위궤양, 뇌수막염, 신부전, 패혈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쯔쯔가무시 딱지
쯔쯔가무시 증상

증상을 자세히 정리하자면 쯔쯔가무시증은 잠복기가 보통 1~3주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리면 1~3주 이내 발열과 두통 그리고 오한이 발생하고 이어서 기침과 구통, 근육통이 와 마치 감기 몸살과 그 증상이 유사하며 복통과 인후염 그리고 발진과 궤양이 일고 딱지가 생긴 다합니다.

 

몸통을 시작으로 팔과 다리로 퍼지며 홍반성 구진성 발진으로 나타나고 가려움은 없습니다. 직경 3mm에서 20mm의 붉은 반점으로 각 반점들은 경계가 뚜렷하고 손바닥과 발바닥을 빼고 상체와 하체에 발생했다가 1주에서 2주 후에 사라집니다.

 

발열은 매우 고열로 40도에 육박하며 두통과 결막 충혈이 동반됩니다. 그리고 관절통이나 인후통, 복통, 가슴 답답함, 의식변화, 전신 경련 등이 동반되고 최근 풀 숲에 간 적이 있는지 떠올려보고 쯔쯔무가시증을 의심해보시길 바랍니다.

가을철 발열성 질환

이 쯔쯔가무시증은 치료 없이도 2주 정도 후 점차 증상이 나아지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다면 해혈성 쇼크나 신부전, 의식저하와 같은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쯔쯔가무시증 자가 진단

 

  1. 봄 그리고 가을철 야외 활동 중에 진드기에 물렸다.
  2. 열이 난다면 발열이 일어나기 몇 주전에 풀 숲에 다녀온 적이 있다.
  3. 발열과 심각한 두통, 식은땀, 결막 충혈 증상이 있다.
  4. 몸통과 팔, 다리에 붉은 반점이 생겼다.
  5. 진드기에 물린 부분에 딱지나 궤양이 생겼다.
  6.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에 딱지나 궤양이 생겼다.

쯔쯔가무시 딱지와 궤양 위치
쯔쯔가무시 딱지와 궤양 위치

 

쯔쯔가무시증 치료

 

쯔쯔가무시증은 특별한 치료가 없이도 건강한 성인이면 2주 정도 고열에 시달리다가 점차 회복이 됩니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와 노약자의 경우에는 해혈성 쇼크나 신부전, 의식저하의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유아와 노약자의 경우 치료는 항생제(독시사이클린 등)의 투여와 증상에 대한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치료기간은 5~7일을 권장하며, 항생제를 투여하면 보통 48시간 정도 이내에 해열이 된다고 합니다.

쯔쯔가무시증 치료

 

쯔쯔가무시 예방

 

봄과 가을철 야외 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진드기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풀밭에 앉거나 눕는 등의 행동을 삼가야 합니다.

숲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기피하고 가야 할 경우라면 긴팔과 긴바지로 맨살을 보호하고 기피제를 뿌려주고 활동 후 바로 옷을 세탁하며 깨끗하게 온 몸을 씻어내주어야 합니다.

쯔쯔가무시 예방법 1
쯔쯔가무시 예방법 2

 

사람들이 많이 본 인기글 바로가기

 

 

2019/09/17 - [건강정보] - 독감예방접종 시기 미리 준비하세요

2019/09/06 - [건강정보] - 만성 폐쇄성 폐질환 증상과 치료

2019/07/05 - [건강정보] - 부정맥 증상 원인

2019/06/24 - [건강정보] - A형 간염 전염경로

2019/06/21 - [건강정보] - 서혜부탈장 증상 알아보아요

2019/06/10 - [건강정보] - 살모넬라균이란? 살모넬라 식중독을 알아보자.

2019/06/09 - [건강정보] - 식중독 증세와 원인인 식중독균을 알아보자.

 

 

 

반응형